📚 책읽는 주다주

마음의 미래 (미치오 카쿠)

JUDAJU 2023. 6. 2. 16:44


인간의 사고는 그 당시 최신으로 발전 된 기술 만큼, 딱 그만큼 까지만 인것 같다.

기술이 발전할 수록 이전에 믿었던 것들 지평 너머에 다른 영역이 있다는걸 알게된다.

그 전에 믿던 것들은 그 당시 가장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기술의 보폭을 뛰어넘을 수 있는건 아니다.



가장 최근에 등장한 두뇌모형은 수십억 개의 컴퓨터를 하나로 연결한 ‘인터넷 모형’이다. 이 모형은 인간의 의식을 “수십억 뉴런의 행동이 하나로 종합되어 나타나는 기적 같은 현상”으로 설명한다(그러나 이 기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는 알 길이 없다. 그저 혼돈이론chaos theory을 도입하여 두루뭉술하게 설명할 뿐이다).


‘감정’이란 하위부서에서 속성으로 내리는 결정이다.

  이성적 사고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비상시에 가동하기에는 부적절하다. 이때는 하위부서에서 상황을 빨리 판단하여 CEO나 중간임원의 결재 없이 결정을 내리는 것이 상책인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감정emotion’이다.


리타 카터Rita Carter는 자신의 저서 《뇌 맵핑마인드Mapping the Mind》에 다음과 같이 적어놓았다. “감정은 느낌이 아니라 육체에 기반을 둔 생존본능으로, 즉각적인 위험을 피하고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쪽으로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다.”

매끄럽고 연속적인 사고’란 존재하지 않으며, 각 부서가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온갖 불협화음이 양산되는 중이다. 모든 결정을 연속적으로 내리는 ‘나’라는 존재감은 잠재의식이 만들어낸 환영에 불과하다.

“한 개인의 마음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마음의 집합체에 가깝다. 마음에는 다양한 하부구조가 존재하며, 각 구조는 서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내가 하버드대학교의 심리학자 스티븐 핀커Steven Pinker와 인터뷰하면서 “이 복잡한 체계 안에서 어떻게 생각이 탄생할 수 있는가?”라고 물었더니, 그는 “의식이란 뇌 안에서 휘몰아치는 폭풍과 비슷하다”고 했다.  

또한 그는 자신의 저서에 다음과 같이 적어놓았다. “사람들은 ‘나’라는 존재가 두뇌의 통제실에 앉아 모든 장면을 스캔하면서 근육의 움직임을 통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모든 느낌은 환상에 불과하다.

인간의 의식은 뇌 전체에 퍼져 있는 수많은 사건의 소용돌이이며, 이 사건들은 CEO의 관심을 끌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하나의 사건이 자신의 존재를 가장 큰 소리로 외치면, 두뇌는 거기에 합리적인 해석을 내림과 동시에 ‘하나의 자아가 모든 결정을 내린다’는 느낌을 만들어낸다.”

대부분의 동물은 본능에 따라 결정을 내리지만, 유독 인간만은 다양한 정보 덩어리를 이리저리 조합하고 변형한 후 좀 더 고차원적인 결정을 내린다.

우리의 두뇌는 20W 정도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으며(희미한 전구의 전력소모량과 비슷하다), 이 값은 몸이 고장 나지 않는 한 절대 증가하지 않는다. 만일 뇌에서 이보다 많은 열이 발생한다면 뇌조직이 손상되면서 심각한 장애가 발생할 것이다. 그러므로 두뇌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려면 에너지를 최대한 절약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름길’을 택하는 수밖에 없다. 우리의 뇌는 긴 진화과정을 겪으면서 ‘절차를 무시하고 빠른 결정을 내리는 장치’를 다양하게 개발해왔다(우리는 이런 장치가 가동되고 있음을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